SEO

SEO

SEO

2025년 3월 23일

Canonical tag 완벽 가이드: 중복 콘텐츠 해결을 위한 필수 SEO 전략

Canonical Tag(캐노니컬 태그)란?

canonical tag란 검색 엔진에게 해당 콘텐츠의 원본은 이것이다! 라고 알려주는 요소입니다. 중복된 콘텐츠들이 여러개가 존재할 때, 이것이 원본 콘텐츠에요! 라고 알려주는 것이죠.

예를 들면, https://majangchan.com/marketing 과 https://majangchang.com/marketing-tips 와 같이 URL은 다르지만 다루고 있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 경우에 Canonical Tag를 설정하여 원본 콘텐츠가 어떤 것인지를 알려주는 것이죠.


왜 Canonical Tag를 적용해야 하나요?

그렇다면 이러한 작업을 왜 해야하는 것일까요?

바로 검색 엔진이 중복된 콘텐츠로 인지하고 이로 인해 검색 순위를 하락시키거나 페이지 색인 누락 같은 불이익이 생길 수 있기 떄문입니다. 다 내가 만든 콘텐츠이지만 중복되었다는 이슈로 인해 트래픽이 잘 나오던 콘텐츠가 순위가 하락하여 악영향을 끼치면 안되겠죠?

따라서, Canonical Tag를 사용하는 이유는 원본 콘텐츠를 명시함으로써 SEO 효율성을 지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사용 사례

그렇다면 우리는 실제로 어떠한 경우에 Canonical Tag를 사용하게 되는지를 경우에 따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UTM 파라미터가 있는 페이지

우리는 마케팅 캠페인을 하다보면 캠페인의 성과를 추적하기 위해 UTM 파라미터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래서 콘텐츠는 동일하지만 URL이 달라지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예를 들면, 유입 소스를 추적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URL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게 됩니다.

  1. https://majangchang.com/marketing/?utm_source=naver

  2. https://majangchang.com/marketing/?utm_source=google

  3. https://majangchang.com/marketing/?utm_source=instagram

따라서 우리는 https://majangchang.com/marketing 페이지에 아래와 같이 Canonical tag를 적용하게 된다면 검색 엔진은 UTM 으로 달라지게 되어도 원본 페이지로 간주하게 될 것입니다.

<link rel="canonical" href="https://majangchang.com/marketing" />


  1. 정렬 또는 필터 기능이 있는 페이지

이것은 주로 쇼핑몰 같은 웹페이지에서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쇼핑몰에서 내가 사는 제품이 색상, 가격에 따라 필터를 걸 때, URL이 달라지게 되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뒤에 붙은 값은 달라도 나오게 되는 페이지는 동일한 것처럼 말입니다.

  1. https://majangchang-shoppingmall.com/?color=white

  2. https://majangchang-shoppingmall.com/?campaign=white-festival

따라서 이처럼 같은 제품 리스트로 이루어졌음에도 필터를 통해, URL이 달라져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canonical tag를 적용하여 URL 중복 이슈를 피하셔야 합니다.

<link rel="canonical" href="https://majangchang=shoppingmall.com/" />


  1. 모바일 버전과 데스크톱 버전이 존재하는 페이지

반응형 웹사이트가 아니고서는 대부분의 사이트가 모바일 버전, 데스크톱 버전의 페이지가 존재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PC에서 잘 나오는 페이지가 모바일에서는 비율이 깨져서 유저 입장에서 콘텐츠를 제대로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URL이 존재해버리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1. https://m.majangchang.com/marketing/ (모바일 버전)

  2. https://majangchang.com/marketing/ (데스크톱 버전)

따라서 이러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canonical tag를 적용하여 중복 이슈를 피해야 합니다.

<link rel="canonical" href="https://majangchang.com/marketing" />


잘못된 사용 예시

캐노니컬 태그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는 어떤 것이 있는지도 설명하면 실제로 적욯하실 때, 오류를 줄이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어떤 것이 잘못된 사용 예시인지도 함께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모든 페이지를 하나의 Canonical 로 지정해버리기

canonical 지정이 중요하다 하여 어떤 페이지에서든 원본 페이지를 "homepage"로 고정해버리는 경우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검색 엔진은 이 웹페이지는 모두 동일한 콘텐츠로 이루어져있다고 판단하고, 실제 콘텐츠가 있는 하위 페이지들을 색인에서 제외하여 노출이 안되는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중복된 Canonical 사용

한 페이지에 canonical이 2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캐노니컬은 한 페이지당 한개가 원칙입니다. 두 개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검색 엔진이 어떤 url을 기준으로 원본을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됩니다.

<link rel="canonical" href="https://majangchang.com/marketing" />

<link rel="canonical" href="https://majangchang.com/marketing" />


  1. 서로 다른 콘텐츠에서 서로를 Canonical로 사용해버리기

A라는 페이지에서는 B를 canonical로 지정하고, B라는 페이지에서는 A를 canonical로 지정하는 케이스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서로 다른 페이지에서 원본을 주장하는 것이 달라, 검색 엔진은 동일하게 원본을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됩니다.


  1. 지정한 Canonical이 콘텐츠 내용과 불일치한 경우

기껏 canonical을 설정하였지만, 실수로 콘텐츠 내용이 지정한 canonical과 불일치하게 된다면 콘텐츠가 동일하지 않아 검색 엔진은 또 혼란에 빠지게 됩니다. 따라서, 반드시 지정한 Canonical이 내가 현재 작성된 콘텐츠와 동일한 URL이 맞는지 다시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마장창 뉴스레터를
평생 무료로 받아보세요

마장창 뉴스레터를
평생 무료로 받아보세요

마장창 뉴스레터를
평생 무료로 받아보세요